영상 편집용 SSD | 프리미어 프로 쾌적하게! 영상 편집용 SSD 추천 3종

프리미어 프로 렌더링, 왜 이렇게 느릴까요?

지난주에 제가 30분짜리 영상 하나 렌더링하는데 2시간이나 걸렸어요. 처음엔 ‘컴퓨터가 오래돼서 그런가?’ 싶었는데, 알고 보니 문제는 하드디스크였더라고요. 여러분도 프리미어 프로로 작업하다가 프로그램이 먹통되거나, 미리보기만 돌리는데도 버벅대는 경험 있으시죠?

저처럼 영상 편집 부업을 시작하시는 분들이나, 유튜브 영상을 만드시는 분들이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게 바로 ‘저장 장치’예요. 특히 4K 영상을 다루신다면, 일반 하드디스크로는 정말 답이 없거든요.

오늘은 제가 직접 써보고 비교한 영상 편집용 SSD 3종을 가격대별로 소개해드릴게요.

영상 편집, 왜 SSD가 필수일까요?

많은 분들이 “그냥 하드디스크 쓰면 안 돼요?”라고 물어보세요. 물론 쓸 수는 있어요. 하지만 작업 속도 차이가 정말 엄청나답니다.

일반 하드디스크(HDD)의 문제점:

  • 4K 영상 파일 불러오는데만 1~2분 소요
  • 타임라인에서 영상 미리보기 할 때 끊김 현상
  • 렌더링 시간이 2배 이상 길어짐
  • 여러 영상 클립을 동시에 다루면 프로그램 다운

반면 SSD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들이 거의 사라져요. 제 경우엔 SSD로 바꾸고 나서 렌더링 시간이 절반으로 줄었고, 작업 중 스트레스가 확 줄었거든요.

특히 프리미어 프로는 디스크 속도에 민감한 프로그램이에요. 아무리 좋은 그래픽카드를 써도, 저장 장치가 느리면 병목 현상이 생긴답니다.

영상 편집용 SSD 선택 기준 3가지

1. 읽기/쓰기 속도가 가장 중요해요

영상 편집용 SSD는 최소 읽기 속도 500MB/s 이상은 되어야 해요. 4K 영상을 다루신다면 1,000MB/s 이상을 추천드려요.

속도별 체감 차이:

  • 500MB/s: Full HD 영상 편집 가능 (기본)
  • 1,000MB/s: 4K 영상 쾌적하게 편집 가능 (권장)
  • 2,000MB/s 이상: 여러 4K 영상 동시 작업 가능 (전문가용)

2. 용량은 최소 1TB 이상

영상 파일은 생각보다 엄청 커요. 4K로 10분만 찍어도 5~10GB는 기본이거든요. 거기에 프로젝트 파일, 미디어 캐시까지 생각하면 용량이 금방 차요.

제가 추천하는 용량별 사용 용도는:

  • 512GB: 가벼운 Full HD 영상 편집 (입문자)
  • 1TB: 4K 영상 편집 (일반 크리에이터) ⭐ 가장 추천
  • 2TB 이상: 프로젝트 여러 개 동시 진행 (전문가)

3. 내장 vs 외장, 뭐가 좋을까요?

내장 SSD

  • 장점: 속도가 가장 빠름, 추가 케이블 필요 없음
  • 단점: 노트북은 교체 어려움, 용량 확장 제한적

외장 SSD

  • 장점: 이동 편리, 여러 기기에서 사용 가능
  • 단점: 내장보다 약간 느림, 케이블 관리 필요

노트북 사용자나 이동이 잦으신 분들은 외장 SSD가 더 실용적이에요. 저도 외장 SSD 쓰는데, USB-C 타입으로 연결하면 속도 차이가 거의 없더라고요.

가격대별 영상 편집용 SSD 추천 3종

입문자용 | 삼성 T7 (1TB) – 15만원대

이런 분께 추천해요:

  • 처음 영상 편집을 시작하시는 분
  • Full HD 영상 위주로 작업하시는 분
  •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

장점:

  • 읽기 속도 1,050MB/s로 기본기 충실
  • 작고 가벼워서 휴대성 좋음 (신용카드 크기)
  • 가격 대비 성능이 훌륭함

단점:

  • 4K 영상 여러 개 동시 작업은 조금 버거움

제 친구가 이걸 쓰는데, 유튜브용 영상 편집하기엔 전혀 문제없다고 하더라고요. 프리미어 프로에서 Full HD 영상 3~4개 레이어 정도는 끊김 없이 작업 가능해요.

일반 크리에이터용 | 삼성 T9 (1TB) – 20만원대

이런 분께 추천해요:

  • 4K 영상을 주로 편집하시는 분
  • 빠른 렌더링 시간이 중요하신 분
  • 앞으로 영상 편집을 계속하실 계획이신 분

장점:

  • 읽기 속도 2,000MB/s로 체감 속도 확 차이남
  • 4K 60fps 영상도 쾌적하게 편집 가능
  • 발열 관리가 잘 되어 있음

단점:

  • 가격이 조금 부담될 수 있음

제가 현재 쓰고 있는 제품이에요! T7에서 이걸로 바꾸고 나서 렌더링 시간이 30% 정도 줄었어요. 특히 컬러 그레이딩 작업할 때 렉이 거의 없어서 만족스럽답니다.

4K 영상을 정기적으로 만드신다면, 이 정도 투자는 충분히 가치 있어요. 시간이 돈이잖아요?

전문가용 | 삼성 X5 (2TB) – 60만원대

이런 분께 추천해요:

  • 영상 편집으로 수익을 내시는 전문가
  • 8K 영상이나 대용량 프로젝트를 다루시는 분
  • 최고 성능이 필요하신 분

장점:

  • 읽기 속도 2,800MB/s로 최상위급
  • Thunderbolt 3 지원으로 맥북과 궁합 완벽
  • 여러 4K 영상 동시 작업도 끄떡없음

단점:

  • 가격이 비쌈
  • 일반 사용자에겐 오버스펙일 수 있음

솔직히 취미로 하시는 분들께는 오버스펙이에요. 하지만 클라이언트 작업하시거나, 타이트한 마감 기한에 쫓기시는 분들에겐 정말 좋은 선택이에요. 시간 단축이 곧 수익 증대니까요.

영상 편집 SSD, 이렇게 관리하세요

SSD를 오래 쓰려면 관리가 중요해요. 제가 실천하는 관리 팁 알려드릴게요.

수명 연장하는 관리 방법:

  • 용량의 20%는 항상 비워두기 (SSD는 가득 차면 느려져요)
  • 3개월마다 한 번씩 SSD 건강 상태 체크하기
  • 사용하지 않을 때는 안전하게 제거하기
  • 직사광선이나 고온 환경 피하기

특히 외장 SSD는 케이블 뽑을 때 꼭 ‘안전하게 제거’ 버튼 누르고 뽑으세요. 갑자기 뽑으면 데이터 손상될 수 있어요. 저도 한번 급하게 뽑았다가 프로젝트 파일 날린 적 있어요… 😢

프리미어 프로 최적 설정 팁

SSD를 샀다면, 프리미어 프로 설정도 SSD에 맞게 바꿔주세요.

필수 설정 3가지:

  1. 미디어 캐시 위치 변경
  • 편집 > 환경설정 > 미디어 캐시 > SSD 드라이브로 설정
  1. 스크래치 디스크 설정
  • 프로젝트 설정 > 스크래치 디스크 > 모두 SSD로 지정
  1. GPU 가속 활성화
  • 파일 > 프로젝트 설정 > 일반 > Mercury Playback Engine 확인

이 설정만 바꿔줘도 작업 속도가 30% 이상 빨라져요. 저는 이걸 몰라서 한 달 동안 느린 속도로 고생했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영상 편집 작업이 느려서 스트레스받고 계셨다면, 더 이상 미루지 마세요. SSD 하나만 바꿔도 작업 환경이 완전히 달라진답니다.

오늘 당장 할 수 있는 3가지:

  1. 내 작업 용량 확인하기 (4K인지, Full HD인지)
  2. 예산에 맞는 SSD 선택하기 (입문 15만원 / 일반 20만원 / 전문가 60만원)
  3. 프리미어 프로 설정 최적화하기

저는 T9 써보고 정말 만족하고 있어요. 여러분도 투자 대비 효과를 확실히 보실 거예요. 늦으면 늦을수록 시간만 손해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노트북 내장 SSD랑 외장 SSD 속도 차이 많이 나나요?
요즘 외장 SSD는 USB-C나 썬더볼트로 연결하면 속도 차이가 거의 없어요. 오히려 외장 SSD가 여러 기기에서 쓸 수 있어서 더 실용적일 수 있답니다.

Q2. 4K 영상 편집하려면 무조건 2TB 이상 필요한가요?
아니에요! 1TB면 충분해요. 프로젝트 완료하면 외장하드에 백업하고 SSD는 비워주시면 돼요. 저도 1TB 쓰는데 불편한 적 없어요.

Q3. SSD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일반적으로 3~5년 정도 사용 가능해요. 하지만 관리 잘하면 더 오래 쓸 수 있어요. 용량을 가득 채우지 않고, 정기적으로 건강 상태 체크하는 게 중요해요.

Q4. 맥북에서도 이 SSD들 다 호환되나요?
네! 소개해드린 제품들 모두 Mac과 Windows 호환돼요. 다만 맥북 사용자시라면 썬더볼트 지원 제품이 더 좋아요.

Q5. 영상 편집 끝난 파일은 SSD에 계속 보관해야 하나요?
아니에요. 프로젝트 완료하면 외장하드에 백업하고 SSD는 비워주세요. SSD는 작업용으로만 쓰고, 장기 보관은 외장하드가 더 경제적이에요.


관련 글 더 보기:


#영상편집SSD #프리미어프로 #SSD추천 #영상편집 #편집용스토리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