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상황: 왜 외장 그래픽이 작동하지 않을까?
노트북으로 리그오브레전드를 플레이하시는 분들 중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 GPU 사용률을 보니 내장 그래픽(Intel UHD)이 70% 이상 사용되는데, 외장 그래픽(MX250)은 겨우 20%만 사용됨
- 게임을 한 번 실행하면 챔피언 이미지가 로딩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닷지를 내야 함
- 게임을 닫았다가 다시 열면 그제야 정상적으로 작동함
이는 전형적인 GPU 우선순위 설정 오류 문제입니다. Windows와 NVIDIA 시스템이 롤을 “가벼운 프로그램”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내장 그래픽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이죠.
⚠️ 중요: 외장 그래픽카드(MX250)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게임 성능이 50% 이상 저하되고, 로딩 오류와 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분석: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1. Optimus 기술의 자동 전환 시스템
NVIDIA Optimus는 배터리 절약을 위해 자동으로 GPU를 전환하는 기술입니다. 문제는 롤과 같은 게임을 “가벼운 작업”으로 잘못 판단하여 내장 그래픽으로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2. Windows 그래픽 설정 우선순위
Windows 10/11은 자체적으로 앱별 GPU 우선순위를 관리하는데, 기본값이 “시스템 자동 선택”으로 되어 있어 내장 그래픽을 우선 사용하게 됩니다.
3. 라이엇 클라이언트의 GPU 인식 딜레이
라이엇 클라이언트가 처음 실행될 때 GPU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버그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2번 실행해야 정상 작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해결 방법 1: Windows 그래픽 설정 변경 (가장 간단함)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고 간단합니다!
단계별 설정 방법
1단계: 그래픽 설정 메뉴 열기
Windows 설정 (Win + I)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아래로 스크롤 → "그래픽 설정" 클릭
2단계: 리그오브레전드 추가
- “찾아보기” 클릭
- 경로 이동:
C:\Riot Games\League of Legends\Game\League of Legends.exe - 파일 선택 후 “추가” 클릭
⚠️ 주의:
LeagueClient.exe가 아니라League of Legends.exe를 선택해야 합니다!
3단계: 고성능 GPU로 설정
- 추가된 리그오브레전드 항목 클릭 → “옵션” 클릭
- “고성능” 선택 (절전 아님!)
- “저장” 클릭
추가 설정: 라이엇 클라이언트도 함께 설정
같은 방법으로 LeagueClient.exe, RiotClientServices.exe도 모두 고성능으로 설정하면 더욱 안정적입니다.
효과: 이 설정만으로도 90% 이상의 경우 문제가 해결됩니다. 노트북 발열 관리도 함께 확인하면 더 쾌적한 게임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2: NVIDIA 제어판에서 강제 설정
Windows 설정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NVIDIA 제어판에서 직접 설정하세요.
단계별 설정 방법
1단계: NVIDIA 제어판 열기
- 바탕화면 빈 공간에서 우클릭 → “NVIDIA 제어판” 선택
- 또는 시스템 트레이의 NVIDIA 아이콘 우클릭
💡 Tip: NVIDIA 제어판이 보이지 않는다면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것입니다. NVIDIA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세요.
2단계: 3D 설정 관리
- 좌측 메뉴에서 “3D 설정 관리” 클릭
- “프로그램 설정” 탭 선택
3단계: 리그오브레전드 추가 및 설정
1. "추가" 버튼 클릭
2. 리그오브레전드 게임 실행 파일 선택
경로: C:\Riot Games\League of Legends\Game\League of Legends.exe
3. "이 프로그램에 사용할 그래픽 프로세서를 선택하십시오" 드롭다운에서
→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선택
4. "적용" 클릭
4단계: 글로벌 설정 확인
- “글로벌 설정” 탭에서도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가 기본값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 되어있지 않다면 변경 후 “적용” 클릭
효과: NVIDIA GPU가 게임 실행 시 100% 활성화됩니다. 특히 게임 성능 향상이 필요한 분들은 게이밍 PC SSD 용량 가이드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해결 방법 3: 전원 설정 최적화
GPU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전원 설정도 중요합니다.
단계별 설정 방법
1단계: 전원 옵션 열기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전원 옵션
또는 검색창에 "전원 옵션" 입력
2단계: 고성능 모드 선택
- “고성능” 또는 “최고 성능” 모드 선택
- 없다면 “전원 관리 옵션 추가” 클릭하여 활성화
3단계: 고급 전원 설정 조정
선택한 전원 관리 옆의 "설정 변경" 클릭
→ "고급 전원 설정 변경" 클릭
→ "PCI Express" → "링크 상태 전원 관리" → "끔"으로 설정
→ "프로세서 전원 관리" → "최소 프로세서 상태" → 100%로 설정
⚠️ 배터리 사용 시 주의: 고성능 모드는 배터리 소모가 빠르므로, 게임 시에만 활성화하고 평소에는 균형 모드를 사용하세요.
해결 방법 4: NVIDIA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재설치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GPU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깔끔한 드라이버 재설치 방법
1단계: 현재 드라이버 완전 삭제
1. DDU (Display Driver Uninstaller) 다운로드
공식 사이트: https://www.guru3d.com/files-details/display-driver-uninstaller-download.html
2. 안전 모드로 재부팅
3. DDU 실행 → "NVIDIA 선택" → "삭제 후 재시작" 클릭
2단계: 최신 드라이버 설치
- NVIDIA 공식 드라이버 페이지 방문
- 노트북 제품군 → GeForce → MX250 검색
- 최신 Game Ready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
3단계: GeForce Experience 설치 (선택사항)
- 자동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게임 최적화 기능 제공
- 설치 후 “드라이버” 탭에서 자동 업데이트 활성화
해결 방법 5: 라이엇 클라이언트 실행 옵션 추가
게임 클라이언트 자체에 GPU 설정을 강제하는 방법입니다.
단계별 설정 방법
1단계: 바로가기 속성 열기
- 바탕화면의 “리그오브레전드” 바로가기 우클릭 → “속성” 선택
2단계: 대상 경로 수정 기존 대상 경로 끝에 다음 명령어 추가:
-high -USEALLAVAILABLECORES -dx11
예시:
"C:\Riot Games\League of Legends\LeagueClient.exe" -high -USEALLAVAILABLECORES -dx11
3단계: 적용 및 재시작
- “적용” → “확인” 클릭
- 새로 만든 바로가기로 게임 실행
💡 Tip: DirectX 11 모드로 실행하면 GPU 인식률이 더 높아집니다.
추가 최적화 팁
1. 게임 내 그래픽 설정 조정
게임 실행 → ESC → 비디오
- 수직 동기화: 끔
- 프레임 속도 제한: 제거 또는 144FPS
- 그래픽 품질: 중간 이상
2.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
작업 관리자(Ctrl + Shift + Esc)에서 불필요한 프로그램 종료:
- Chrome 브라우저 (메모리 많이 사용)
- 디스코드 하드웨어 가속 끄기
- 토렌트, 다운로드 프로그램 종료
3. Windows 게임 모드 활성화
Windows 설정 → 게임 → 게임 모드 → 켜기
Xbox Game Bar → 끄기 (불필요한 오버레이 제거)
4. 노트북 쿨링패드 사용
MX250은 발열이 심한 편입니다. 60도 이상 온도가 올라가면 성능이 저하되므로 쿨링패드 사용을 권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노트북 발열 줄이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설정했는데도 여전히 내장 그래픽을 사용해요
A. 다음을 확인하세요:
- BIOS에서 Switchable Graphics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 라이엇 클라이언트와 게임 실행 파일 모두 설정했는지 확인
- 드라이버를 DDU로 완전 삭제 후 재설치
Q2. MX250으로 롤을 돌리면 프레임이 얼마나 나오나요?
A. 정상 설정 시:
- 1080p 중간 옵션: 80-120 FPS
- 1080p 높음 옵션: 60-90 FPS
- 1080p 최고 옵션: 50-70 FPS
내장 그래픽 사용 시에는 30-50 FPS 정도로 크게 떨어집니다.
Q3. 배터리 모드에서도 외장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배터리 소모가 2배 이상 빨라집니다. 충전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게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Q4. 게임을 2번 실행해야 하는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나요?
A. 위의 설정을 모두 적용하면 95% 이상 해결됩니다. 여전히 문제가 있다면:
- 라이엇 클라이언트 재설치
- Windows 업데이트 확인
- 안티바이러스 예외 목록에 롤 추가
Q5. 노트북이 너무 오래되어서 성능이 부족한가요?
A. MX250은 2019년 출시 제품이지만 롤 정도는 충분히 돌릴 수 있습니다. 다만 다른 고사양 게임을 하고 싶다면 가성비 노트북 추천을 참고하여 업그레이드를 고려해보세요.
문제 예방법
1. 정기적인 드라이버 업데이트
월 1회 NVIDIA GeForce Experience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 확인
2. Windows 자동 업데이트 관리
중요 업데이트는 적용하되, 대규모 업데이트는 안정화 후 적용
3. 게임 클라이언트 자동 복구 기능 활용
라이엇 클라이언트 → 설정 → "자동 복구 시작"
문제 발생 시 자동으로 파일 검증 및 복구
4. 디스크 정리 및 최적화
월 1회 디스크 정리 및 조각 모음 실행:
C 드라이브 우클릭 → 속성 → 디스크 정리 → 시스템 파일 정리
마무리
LG 노트북에서 롤을 할 때 내장 그래픽이 아닌 외장 그래픽(MX250)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은 게임 경험을 완전히 바꿀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 ✅ Windows 그래픽 설정에서 “고성능” 선택
- ✅ NVIDIA 제어판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 설정
- ✅ 전원 옵션을 “고성능” 모드로 변경
- ✅ 필요시 드라이버 완전 재설치
- ✅ 게임 실행 옵션 최적화
위의 5가지 방법을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게임을 2번 실행해야 하는 문제와 GPU 사용률 불균형 문제가 모두 해결됩니다.
더 쾌적한 게임 환경을 위해 노트북 발열 관리와 SSD 업그레이드도 고려해보세요. 롤과 같은 게임은 로딩 속도가 중요하므로 SSD 업그레이드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문제가 해결되셨나요?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