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밍 PC SSD 용량 | 게임별 필요 용량과 적정 SSD 용량 총정리

안녕하세요! 저도 작년에 게이밍 PC 조립하면서 SSD 용량 때문에 정말 고민 많이 했어요. 500GB로 갈까, 1TB로 갈까… 예산은 한정되어 있는데 나중에 용량 부족하면 어떡하지? 이런 걱정 정말 많이 하시죠?

요즘 게임들은 용량이 엄청나게 커졌어요. 특히 AAA급 신작 게임들은 기본이 100GB 넘어가고, 업데이트까지 하면 150GB도 훌쩍 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제 경험과 실제 게임 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게이밍 PC에 적합한 SSD 용량을 알려드릴게요!

왜 게이밍 PC에는 SSD가 필수일까?

게이밍 PC 조립하시는 분들 중에 가끔 “HDD 쓰면 안 될까요?”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세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2025년 현재 게임용으로는 SSD가 거의 필수라고 봐야 해요.

SSD를 사용하면 게임 로딩 시간이 HDD 대비 3~5배 이상 빨라지고, 오픈월드 게임에서 맵 이동할 때 끊김 현상도 확 줄어들어요. 제 경우에는 배틀그라운드를 HDD에서 SSD로 옮겼더니 게임 시작 대기 시간이 2분에서 30초로 줄었거든요.

최신 게임들은 아예 DirectStorage 기술을 지원해서 SSD 없이는 제대로 된 성능을 낼 수 없는 경우도 많아요. 특히 PS5나 Xbox Series X 같은 콘솔에서 이식된 게임들은 빠른 스토리지를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SSD가 필수라고 봐야 합니다.

2025년 인기 게임별 실제 설치 용량

실제로 게임들이 얼마나 용량을 차지하는지 궁금하시죠? 제가 직접 Steam과 Epic Games에서 확인한 최신 데이터를 정리해드릴게요.

AAA급 대작 게임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 약 149GB
  • 사이버펑크 2077 – 약 105GB
  • 호그와트 레거시 – 약 85GB
  • 스타필드 – 약 125GB
  • 발더스 게이트 3 – 약 150GB

인기 온라인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 약 22GB
  • 배틀그라운드 – 약 40GB
  • 발로란트 – 약 30GB
  • 오버워치 2 – 약 50GB
  • 로스트아크 – 약 80GB

스팀 인기 게임

  • 엘든 링 – 약 60GB
  • 팔월드 – 약 40GB
  • 데이브 더 다이버 – 약 5GB

보시다시피 게임 종류에 따라 편차가 크죠? 가벼운 인디 게임은 10GB 이하지만, AAA급 신작은 100GB가 기본이에요.

게이밍 PC SSD 용량 추천 | 상황별 가이드

그렇다면 과연 SSD 용량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제 경험상 게임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추천 용량이 달라져요.

500GB – 예산이 빠듯하거나 게임을 많이 안 하는 경우

  • ✅ 적합한 유저: 1~2개 게임만 집중적으로 플레이
  • ✅ 윈도우(약 30GB) + 필수 프로그램(약 50GB) = 80GB 사용
  • ✅ 실제 게임 설치 가능 공간: 약 350~400GB
  • ❌ 단점: 대작 게임 2~3개만 깔면 공간 부족

솔직히 말씀드리면 500GB는 2025년 기준으로는 조금 부족한 감이 있어요. 윈도우 업데이트, 게임 업데이트 등을 고려하면 여유 공간이 거의 없거든요. 저는 처음에 500GB 쓰다가 3개월 만에 1TB로 업그레이드했어요.

1TB – 가장 무난한 가성비 선택 ⭐추천

  • ✅ 적합한 유저: 일반적인 게이머, 가성비 중시
  • ✅ 실제 게임 설치 가능 공간: 약 800~850GB
  • ✅ AAA급 게임 5~7개 + 온라인 게임 3~5개 동시 설치 가능
  • ✅ 가격 대비 성능 가장 좋음

제가 가장 추천하는 용량이에요! 현재 1TB SSD 가격이 많이 내려서 500GB랑 가격 차이가 크지 않거든요. 게다가 대부분의 게이머들은 1TB면 충분해요. 저도 지금 1TB 쓰고 있는데 큰 불편함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2TB – 게임을 많이 하거나 작업용으로도 쓰는 경우

  • ✅ 적합한 유저: 하드코어 게이머, 콘텐츠 크리에이터
  • ✅ 실제 게임 설치 가능 공간: 약 1.7~1.8TB
  • ✅ AAA급 게임 10개 이상 + 다양한 게임 라이브러리 관리 가능
  • ✅ 영상 편집, 방송 등 작업용으로도 활용 가능

방송하시거나 유튜브 영상 만드시는 분들은 2TB 이상을 추천드려요. 게임 녹화 파일이 생각보다 용량을 많이 차지하거든요.

4TB 이상 – 프로 게이머나 대용량 작업자

솔직히 일반 유저에게는 과한 용량이에요. 하지만 게임 개발자, 프로 게이머, 스트리머라면 고려해볼 만합니다. 다만 가격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요.

SSD 용량 부족할 때 대처법

그렇다면 이미 SSD를 구매했는데 용량이 부족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걱정하지 마세요. 몇 가지 해결 방법이 있어요!

1. 보조 저장장치 추가하기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에요. 메인 SSD는 그대로 두고, 대용량 HDD나 저렴한 SATA SSD를 추가하는 거죠.

  • 자주 하는 게임 → 메인 NVMe SSD
  • 가끔 하는 게임 → 보조 SATA SSD 또는 HDD

저도 이 방법 쓰고 있는데요, 메인 1TB SSD에 주력 게임 깔고, 보조 2TB HDD에 스토리 게임들 보관해요. 필요할 때만 SSD로 옮겨서 플레이하면 되거든요.

2. 게임 데이터 정리

  • Steam 게임 → 속성 → 로컬 파일 → 설치 파일 정리
  • 안 하는 게임은 과감히 삭제 (나중에 재설치 가능)
  • 업데이트 파일, 캐시 파일 주기적으로 삭제

3.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활용

요즘 Xbox Game Pass, GeForce Now 같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도 많이 좋아졌어요. 용량 걱정 없이 게임할 수 있죠. 다만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이 필수예요.

SSD 구매 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용량만 보고 SSD를 사면 안 돼요! 몇 가지 중요한 스펙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NVMe vs SATA, 뭐가 좋을까?

  • NVMe SSD: 읽기/쓰기 속도 3,500MB/s 이상, Gen4는 7,000MB/s까지
  • SATA SSD: 읽기/쓰기 속도 550MB/s 정도

게이밍용으로는 당연히 NVMe SSD를 추천드려요. 가격도 요즘 많이 내려서 SATA SSD랑 큰 차이 안 나거든요. 특히 DirectStorage 기술을 활용하려면 NVMe가 필수예요.

TBW와 내구성

SSD 수명을 나타내는 지표예요.

  • TBW(Total Bytes Written): SSD에 쓸 수 있는 총 데이터량
  • 1TB 기준 보통 600TBW 이상이면 충분해요
  • 일반 게이머 기준 5~10년 이상 사용 가능

DRAM 캐시 유무

  • DRAM 캐시 있는 제품: 속도 안정적, 내구성 좋음
  • DRAM 없는 제품(DRAMless): 가격 저렴, 성능 약간 떨어짐

예산이 허락한다면 DRAM 캐시가 있는 제품을 추천드려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성능과 내구성 면에서 유리하거든요.

예산별 추천 SSD 용량 전략

자, 이제 실전이에요! 예산에 따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알려드릴게요.

예산 10만원 미만

  • 추천: 500GB NVMe SSD 1개
  • 메인 게임 1~2개만 집중적으로 플레이
  • 나중에 보조 저장장치 추가 고려

예산 10~20만원 (가장 추천!)

  • 추천: 1TB NVMe SSD 1개
  • 가성비 최고, 대부분의 게이머에게 충분
  • 여유 있게 게임 라이브러리 관리 가능

예산 20~30만원

  • 추천: 1TB NVMe SSD + 2TB HDD
  • 또는 2TB NVMe SSD 1개
  • 자주 하는 게임은 SSD에, 보관용은 HDD에

예산 30만원 이상

  • 추천: 2TB NVMe SSD (Gen4) 1개
  • 또는 1TB NVMe SSD + 2TB SATA SSD
  • 프로 게이머, 스트리머에게 추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SSD 용량이 부족하면 게임 성능이 떨어지나요?

네,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SSD 용량의 80% 이상 사용하면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해요. 항상 20% 정도는 여유 공간으로 남겨두는 게 좋습니다. 제 경험상 1TB SSD라면 800GB 이하로 유지하는 게 최적이에요.

Q2. 게임을 HDD에 설치해도 되나요?

가능은 하지만 추천하지 않아요. 특히 오픈월드 게임이나 최신 게임은 로딩 시간이 3~5배 이상 길어지고, 게임 중 끊김 현상도 발생할 수 있어요. 다만 턴제 게임이나 인디 게임은 HDD에 설치해도 괜찮습니다.

Q3. 500GB에서 1TB로 업그레이드할 때 데이터 옮기기 어렵나요?

생각보다 쉬워요! 요즘 SSD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클로닝 소프트웨어를 쓰면 윈도우와 게임 데이터를 그대로 옮길 수 있어요. 삼성 Data Migration, WD Acronis 등이 무료로 제공되고, 1~2시간이면 작업이 끝납니다.

Q4. 게임 설치 용량과 실제 용량이 다른 이유는?

게임 다운로드 시 압축 파일로 받아서 설치하면서 압축이 풀리기 때문이에요. 보통 실제 설치 용량이 표기된 용량보다 10~30% 더 큰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게임 업데이트, 세이브 파일, 캐시 파일 등도 추가 공간을 차지하죠.

Q5. SSD 두 개를 설치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큰 용량 하나가 좋을까요?

개인적으로는 큰 용량 하나를 추천드려요. 관리도 편하고, 가격 대비 효율도 더 좋거든요. 다만 OS용과 게임용을 분리하고 싶거나, 나중에 업그레이드를 고려한다면 두 개로 나누는 것도 좋은 선택이에요.

지금 바로 실천할 수 있는 3가지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이제 SSD 용량 선택은 문제없으시겠죠? 그럼 오늘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액션 플랜을 알려드릴게요!

  1. 현재 하는 게임 목록 작성하기
  • 자주 하는 게임과 가끔 하는 게임 구분
  • 각 게임의 설치 용량 확인
  • 앞으로 하고 싶은 게임 리스트 작성
  1. 예산 설정하고 제품 비교하기
  • 다나와, 컴퓨존 등에서 가격 비교
  • 리뷰와 벤치마크 확인
  • 블랙프라이데이, 연말 세일 시즌 활용
  1. 현재 PC의 SSD 슬롯 확인하기
  • 메인보드 사양 확인 (M.2 슬롯 개수)
  •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 체크
  • 필요하다면 외장 SSD도 고려

마무리하며

게이밍 PC SSD 용량 선택,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시죠? 핵심은 자신의 게임 플레이 스타일을 파악하는 거예요.

대부분의 일반 게이머라면 1TB NVMe SSD가 가장 무난한 선택이에요. 가격도 합리적이고, 용량도 충분하거든요. 저도 1TB 쓰면서 큰 불편함 없이 잘 지내고 있어요.

혹시 지금 SSD 용량 때문에 고민 중이시라면, 늦기 전에 결정하세요! 요즘은 SSD 가격이 계속 내려가고 있지만, 연말이 다가오면서 수요가 늘면 가격이 오를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