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문제 상황 정확히 이해하기
윈도우를 초기화하려고 했는데 “Your device ran into a problem and needs to restart” 메시지와 함께 블루스크린이 계속 반복되는 상황이신가요?
이것은 초기화 중 시스템 크래시가 발생해 부팅 루프에 빠진 심각한 상태입니다. 보통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 컴퓨터가 켜지면 윈도우 로고 뒤 블루스크린
- ⚠️ 몇 초~몇 분 후 자동으로 재부팅
- ⚠️ 복구 옵션이 작동하지 않음
- ⚠️ 안전 모드 진입도 실패

블루스크린 재부팅 루프 원인 분석
이 문제는 단순한 소프트웨어 오류가 아닙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스템 파일 손상
초기화 과정에서 윈도우 핵심 파일이 깨지거나 삭제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NTFS.sys, win32k.sys 같은 드라이버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하드디스크/SSD 물리적 손상
윈도우 블루스크린 오류는 저장장치 배드섹터와도 관련이 깊습니다. 초기화 중 데이터를 쓰는 과정에서 손상된 섹터를 만나면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3. RAM 메모리 불량
초기화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RAM에 불량 셀이 있으면 데이터 처리 중 오류가 발생해 블루스크린이 뜹니다.
4. BIOS 설정 충돌
UEFI/Legacy 부팅 모드 불일치나 Secure Boot 설정이 잘못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5. 호환되지 않는 드라이버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등의 드라이버가 초기화 과정에서 충돌할 수 있습니다.
7가지 단계별 해결 방법
방법 1: 안전 모드로 진입 후 시스템 복원
난이도: ⭐⭐
성공률: 60%
안전 모드는 최소한의 드라이버만 로드하므로 블루스크린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단계:
- 자동 복구 모드 진입
- 컴퓨터 전원을 켠 후 윈도우 로고가 뜨면 강제로 전원 버튼을 길게 눌러 종료
- 이 과정을 3회 반복하면 “자동 복구 준비 중” 화면이 나타남
- 고급 옵션 선택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 안전 모드 선택
- F4 키를 눌러 “안전 모드” 진입
- 네트워크가 필요하면 F5 “네트워킹이 지원되는 안전 모드”
- 시스템 복원 실행
제어판 → 복구 → 시스템 복원 열기 → 복원 지점 선택
⚠️ 주의: 복원 지점이 없다면 이 방법은 불가능합니다.
방법 2: 부팅 복구 명령어 실행
난이도: ⭐⭐⭐
성공률: 70%
부팅 오류 코드별 해결 방법에서도 권장하는 핵심 방법입니다.
단계:
- 명령 프롬프트 진입
자동 복구 화면 → 고급 옵션 → 명령 프롬프트 - 부팅 구성 데이터(BCD) 재구성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scanos bootrec /rebuildbcd - 시스템 파일 검사
sfc /scannow /offbootdir=C:\ /offwindir=C:\Windows chkdsk C: /f /r - 재부팅 후 확인
exit
💡 팁: 명령어가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오류를 낸다면 BIOS에서 Secure Boot를 비활성화하세요.
방법 3: 윈도우 설치 USB로 클린 설치
난이도: ⭐⭐⭐⭐
성공률: 95%
복구가 불가능할 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단, 기존 데이터는 모두 삭제됩니다.
준비물:
- 8GB 이상 USB 메모리
- 정상 작동하는 다른 컴퓨터
단계:
- 윈도우 설치 미디어 제작 (다른 PC에서)
-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미디어 생성 도구” 다운로드
- USB를 꽂고 설치 미디어 생성
- BIOS에서 부팅 순서 변경
- 컴퓨터 재시작 → F2/F12/Del 키 연타 (제조사마다 다름)
- Boot 메뉴에서 USB를 1순위로 변경
- 클린 설치 진행
지금 설치 → 사용자 지정: Windows만 설치 → 기존 파티션 삭제 → 새로 생성 → 설치
⚠️ 중요: 파티션 삭제는 모든 데이터를 지웁니다. 가능하다면 데이터 백업을 먼저 시도하세요.
방법 4: RAM 메모리 점검 및 재장착
난이도: ⭐⭐
성공률: 40%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도 높습니다.
단계:
- 컴퓨터 전원 완전 차단 (배터리 제거 or 전원 코드 분리)
- RAM 슬롯 청소
- 노트북 뒷면 나사 제거 (보증 스티커 주의)
- RAM 고정 클립을 옆으로 밀어 메모리 제거
- 지우개로 금색 단자 부분을 부드럽게 닦기
- 슬롯 내부를 에어 스프레이로 먼지 제거
- 메모리 재장착
- 한 개씩만 꽂아서 부팅 테스트
- 불량 메모리를 찾아내기
- 윈도우 메모리 진단 도구 실행 (부팅 가능한 경우)
Windows 키 + R → mdsched.exe → 지금 다시 시작
방법 5: BIOS 설정 초기화
난이도: ⭐⭐
성공률: 50%
BIOS 설정이 꼬여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단계:
- BIOS 진입
- 부팅 시 F2/F10/Del 키 연타
- 기본값 복원
Load Optimized Defaults → Yes → Save & Exit - 부팅 모드 확인
- Boot Mode가 UEFI로 되어 있는지 확인
- Legacy로 되어 있다면 UEFI로 변경
- Secure Boot 비활성화 (문제 발생 시)
Security → Secure Boot → Disabled
방법 6: 하드디스크/SSD 배드섹터 검사
난이도: ⭐⭐⭐⭐
성공률: 30%
저장장치 자체가 손상되었다면 초기화가 불가능합니다. 초기화 오류는 종종 저장장치 문제에서 발생합니다.
단계:
- 외장 케이스 또는 다른 PC 이용
- 문제의 하드디스크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
- CrystalDiskInfo 프로그램 사용
- 다운로드: https://crystalmark.info/
- “주의” 또는 “불량” 표시가 나오면 교체 필요
- 배드섹터 확인
- CMD에서 실행:
chkdsk D: /f /r(D는 해당 드라이브 문자로 변경)
⚠️ 경고: 배드섹터가 많다면 즉시 중요 데이터 백업 후 SSD/HDD 교체를 권장합니다.
방법 7: 제조사 복구 파티션 이용
난이도: ⭐⭐
성공률: 80%
일부 노트북(삼성, LG, HP 등)은 숨겨진 복구 파티션이 있습니다.
단계:
- 제조사별 복구 키 확인
- 삼성: F4
- LG: F11
- HP: F11
- 레노버: F12 → “System Recovery”
- ASUS: F9
- 부팅 시 해당 키 연타
- 공장 초기화 진행
복구 → 초기 상태로 복구 → 모든 파티션 삭제
💡 팁: 복구 파티션이 손상되었다면 이 방법은 작동하지 않습니다.
추가 고급 해결 팁
1. Stop Code 분석하기
블루스크린에 표시되는 오류 코드를 메모하세요:
CRITICAL_PROCESS_DIED→ 시스템 프로세스 충돌INACCESSIBLE_BOOT_DEVICE→ 부팅 장치 인식 불가SYSTEM_SERVICE_EXCEPTION→ 드라이버 문제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해당 코드로 검색하면 구체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2. 외장 장치 모두 제거
USB 메모리, 외장하드, 프린터 등을 모두 분리한 후 재부팅해보세요. 간혹 외장 장치가 부팅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3. CMOS 배터리 제거 (데스크톱)
메인보드의 동전형 배터리를 10초간 제거했다가 다시 끼우면 BIOS가 완전히 초기화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데이터 백업 없이 복구 가능한가요?
A: 방법 1, 2, 5는 데이터 손실 없이 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클린 설치(방법 3)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Q2. 블루스크린에 QR 코드가 나오는데 스캔해야 하나요?
A: QR 코드는 Microsoft 지원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스마트폰으로 스캔하면 Stop Code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볼 수 있지만, 실질적인 해결책은 위의 방법들을 시도해야 합니다.
Q3. 안전 모드조차 진입이 안 돼요.
A: 이 경우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방법 4(RAM 점검)과 방법 6(HDD/SSD 검사)을 우선 시도하세요.
Q4. 몇 번이나 시도해야 하나요?
A: 각 방법을 2~3회 반복 시도해보세요. 특히 자동 복구 모드 진입(방법 1)은 여러 번 시도해야 성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Q5. 컴퓨터 수리점에 맡겨야 할까요?
A: 위 방법들을 모두 시도했는데도 해결되지 않거나, 하드웨어 교체가 필요하다면 AS 센터 방문을 권장합니다. 특히 보증기간 내라면 무상 수리가 가능합니다.
예방 가이드: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1. 정기적인 윈도우 업데이트
Windows Update를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면 시스템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2. 저장장치 건강 상태 모니터링
3개월마다 CrystalDiskInfo로 SSD/HDD 상태를 확인하세요.
3. 복원 지점 자동 생성 설정
제어판 → 시스템 → 시스템 보호 →
C 드라이브 선택 → 구성 → 시스템 보호 사용
4. 중요 데이터 백업
외장하드나 클라우드(OneDrive, Google Drive)에 주기적으로 백업하세요.
5. PC 내부 청소
6개월마다 노트북 내부 먼지를 제거하면 과열로 인한 하드웨어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윈도우 초기화 중 블루스크린 재부팅 루프는 정말 답답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로 해결 가능합니다.
추천 순서:
- 방법 1 (안전 모드) → 빠르고 안전
- 방법 2 (부팅 복구 명령어) → 중간 난이도
- 방법 5 (BIOS 초기화) → 간단한 설정 문제 해결
- 방법 4 (RAM 점검) → 하드웨어 의심 시
- 방법 3 (클린 설치) → 최후의 수단
혹시 Stop Code가 특정 드라이버를 지목한다면, 해당 하드웨어(그래픽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등)를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초기화를 시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문제가 계속된다면 하드웨어 불량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증기간을 확인하고 제조사 AS 센터에 문의하세요. 특히 SSD/HDD 교체는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 가이드가 도움이 되셨나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관련 글 추천:
태그: #윈도우블루스크린 #초기화오류 #재부팅루프 #부팅오류 #컴퓨터수리 #윈도우복구 #블루스크린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