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상황: 보안 프로그램이 게임을 막는다?
업무용 PC에 보험사·금융사 전산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Fasoo DRM, 알약, V3 등 보안 솔루션이 함께 설치됩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강력한 커널 레벨 보호를 제공하지만, 게임의 안티치트 시스템(Riot Vanguard, EAC 등)과 충돌을 일으킵니다.
실제 사례:
- LOL의 Vanguard와 Fasoo DRM 충돌 → 게임 실행 불가
- 넥슨 게임과 금융사 보안 프로그램 충돌 → 런처 오류
- 배틀그라운드 EAC와 V3 충돌 → 블루스크린
이 문제는 프로그램 충돌이므로, 두 환경을 분리하면 해결됩니다.
원인 분석: 왜 충돌이 발생할까?
1. 커널 레벨 충돌
- 보안 프로그램: 커널 드라이버로 모든 프로세스 감시
- 게임 안티치트: 동일한 커널 레벨에서 메모리 보호
- 결과: 서로를 악성 프로그램으로 인식
2. 파일 시스템 접근 제한
- Fasoo DRM: 특정 파일 형식 암호화 및 접근 차단
- 게임 프로그램: DLL, EXE 파일 무결성 검사 실패
3. 프로세스 우선순위 경쟁
- 보안 프로그램: 시스템 부팅 시 최우선 로드
- 게임: 프로세스 인젝션 방지 기능과 충돌
⚠️ 중요: 보안 프로그램을 단순히 종료하거나 삭제하면 업무 전산 접속이 불가능해집니다!
해결 방법 1: 윈도우 계정 분리 (권장 ⭐)
가장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보안 프로그램은 설치된 계정에서만 작동하므로, 새 계정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설정 방법
Step 1: 새 로컬 계정 생성
Win + I→ 설정 열기- 계정 → 가족 및 다른 사용자 클릭
- 이 PC에 다른 사용자 추가 클릭
- “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없습니다” 선택
-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 클릭
- 사용자 이름:
Gaming(원하는 이름) - 비밀번호 설정 (선택사항)
Step 2: 계정 유형 변경 (관리자 권한)
- 새로 만든 계정 클릭 → 계정 유형 변경
- 관리자로 변경 → 확인
- 로그아웃 후 새 계정으로 로그인
Step 3: 게임 설치 및 실행
- 새 계정에서 Steam, 리그오브레전드 등 설치
- 보안 프로그램이 없는 깨끗한 환경에서 게임 실행
장점 ✅
- 설정 시간 10분 이내
- 기존 업무 환경 유지
- 추가 저장 공간 불필요
- 계정 전환으로 즉시 사용
단점 ❌
- 파일 공유 시 권한 설정 필요
- 각 계정에서 프로그램 중복 설치
- RAM 사용량 약간 증가
추가 팁
- 파일 공유: C:\Users\Public 폴더 활용
- 빠른 전환:
Win + L→ 계정 선택 - 자동 로그인: netplwiz 명령으로 설정 가능
해결 방법 2: 듀얼부팅 (완벽 분리)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눠 윈도우를 2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두 OS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설정 방법
Step 1: 파티션 나누기
Win + X→ 디스크 관리 실행- C 드라이브 우클릭 → 볼륨 축소
- 축소할 공간: 최소 100GB (게임용)
- 확인 후 할당되지 않음 공간 생성
Step 2: 윈도우 설치 USB 만들기
- Microsoft 공식 사이트에서 미디어 생성 도구 다운로드
- USB (8GB 이상) 연결
- 부팅 가능한 USB 생성
Step 3: 윈도우 설치
- USB 부팅 (재시작 후 F2/F12/Del 키)
- 설치 시 할당되지 않음 파티션 선택
- 게임 전용 윈도우 설치
- 부팅 시 OS 선택 메뉴 자동 생성
Step 4: 부팅 순서 설정
- 재시작 시 30초간 OS 선택 화면 표시
- 기본 OS 변경:
msconfig→ 부팅 탭
장점 ✅
- 완벽한 환경 분리
- 각 OS에서 최적화 가능
- 시스템 충돌 제로
단점 ❌
- 설정 시간 1-2시간
- 저장 공간 100GB 이상 필요
- OS 전환 시 재부팅 필요
주의사항 ⚠️
- 파티션 작업 전 중요 데이터 백업
- 윈도우 제품키 백업 필수
- 업무용 OS와 게임용 OS 구분 명확히
해결 방법 3: 가상머신 활용
VirtualBox나 VMware로 가상 환경을 만들어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설정 방법
Step 1: VirtualBox 설치
- Oracle VirtualBox 공식 사이트 접속
- Windows hosts 다운로드 및 설치
Step 2: 가상머신 생성
- VirtualBox 실행 → 새로 만들기
- 이름: Gaming VM
- 종류: Microsoft Windows
- 버전: Windows 10 (64-bit)
- 메모리: 최소 8GB 할당
- 하드 디스크: 80GB 이상 생성
Step 3: 윈도우 설치 및 게임 실행
- ISO 파일로 윈도우 설치
- 게스트 확장 설치 (성능 향상)
- 게임 설치 및 실행
장점 ✅
- 기존 OS 유지
- 스냅샷으로 복원 가능
- 실험 환경으로 활용
단점 ❌
- 그래픽 성능 30-40% 감소
- 고사양 게임 부적합
- CPU/RAM 리소스 과다 사용
권장 사양
- CPU: 6코어 이상
- RAM: 16GB 이상
- GPU: 가상화 지원 필수
추가 팁: 환경 최적화
1. 게임 성능 향상
# 게임 모드 활성화 (레지스트리)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GameBar" /v AllowAutoGameMode /t REG_DWORD /d 1 /f
2.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 제거
Win + R→msconfig→ 시작프로그램 탭- 업무 프로그램만 선택 활성화
3. 네트워크 우선순위 설정
- 게임 계정: QoS 패킷 스케줄러 비활성화
- 업무 계정: 보안 프로토콜 우선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계정을 나누면 파일을 공유할 수 없나요? A. C:\Users\Public 폴더에 저장하면 모든 계정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또는 권한 설정으로 특정 폴더 공유도 가능합니다.
Q2. 듀얼부팅 시 라이선스가 2개 필요한가요? A. 아닙니다. 동일 PC에서는 1개의 라이선스로 여러 파티션에 설치 가능합니다. 단, 동시 실행은 불가능합니다.
Q3. 가상머신에서 LOL 같은 게임이 돌아가나요? A. Riot Vanguard는 가상 환경을 감지하여 차단합니다. 가상머신은 안티치트가 없는 게임에만 권장됩니다.
Q4. 계정 전환 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어떻게 되나요? A. 각 계정의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유지됩니다. 업무 계정에서 작업 중이던 파일은 그대로 보존됩니다.
Q5. SSD 용량이 부족한데 듀얼부팅 가능한가요? A. SSD 설치 및 마이그레이션 가이드를 참고해 저장 공간을 확보하세요. 최소 100GB 여유 공간 필요합니다.
예방법: 충돌 사전 방지
1. 프로그램 설치 전 확인
- 게임 안티치트 리스트 확인
- 보안 프로그램 호환성 체크
2. 업무 PC 게임 설치 가이드라인
- 게임은 별도 계정/파티션에만 설치
- 업무 계정에서는 브라우저 게임만 사용
3. 정기 점검
- 월 1회 보안 프로그램 업데이트
- 게임 패치 후 충돌 여부 확인
4. 백업 전략
- 중요 데이터는 외부 저장소 보관
- 시스템 복원 지점 주기적 생성
- 부팅 오류 대비 가이드 숙지
마무리: 최선의 선택은?
| 방법 | 난이도 | 시간 | 성능 | 추천 대상 |
|---|---|---|---|---|
| 계정 분리 | ⭐ | 10분 | 100% | 초보자, 빠른 해결 원하는 분 |
| 듀얼부팅 | ⭐⭐⭐ | 2시간 | 100% | 완벽한 분리 원하는 분 |
| 가상머신 | ⭐⭐⭐⭐ | 1시간 | 60-70% | 실험적 사용, 저사양 게임 |
결론:
- 시간이 없다면 → 계정 분리 (가장 빠르고 안전)
- 완벽하게 분리하고 싶다면 → 듀얼부팅 (성능 손실 없음)
- 테스트 목적이라면 → 가상머신 (복원 용이)
업무와 게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세요! 위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안 프로그램 걱정 없이 게임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 주의: 업무용 PC에서 게임 실행 시 회사 정책을 먼저 확인하세요. 일부 기업은 사내 PC 게임 설치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관련 글:
📌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북마크하시고,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께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