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E-E61 부팅 오류 완벽 해결 가이드 | Media test failure 5가지 해결법

comoneylabs

2025년 11월 20일

문제 상황: 갑자기 나타난 PXE 부팅 오류

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을 켰는데 다음과 같은 검은 화면이 나타났나요?

PXE-E61: Media test failure, check cable
PXE-M0F: Exiting PXE ROM
Reboot and Select proper Boot device

이 오류는 컴퓨터가 부팅할 장치(하드디스크, SSD)를 찾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특히 7년 이상 사용한 노트북에서 자주 발생하며, 갑자기 나타나서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 주의: 이 오류를 방치하면 중요한 데이터를 잃을 수 있으니 즉시 조치가 필요합니다.


PXE-E61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

1. 부팅 장치 인식 실패

  • SSD/HDD가 물리적으로 고장났거나 연결이 끊김
  • SATA 케이블 또는 M.2 슬롯 접촉 불량
  • 파워 공급 문제

2. BIOS 부팅 순서 오류

  • 네트워크 부팅(PXE)이 1순위로 설정됨
  • 실제 부팅 디스크가 목록에서 누락
  • BIOS 설정 초기화로 인한 변경

3. 저장장치 수명 종료

4. 윈도우 부트로더 손상

  • 강제 종료나 업데이트 실패로 인한 부트 섹터 손상
  • MBR/GPT 파티션 테이블 오류

해결 방법 1: BIOS 부팅 설정 재구성

가장 먼저 시도해야 할 방법입니다.

단계별 진행

1단계: BIOS 진입

  • 컴퓨터 재시작 후 F2, F10, DEL, ESC 키 연타 (제조사마다 다름)
  • 레노버: F2 또는 F1
  • HP: F10 또는 ESC
  • ASUS: F2 또는 DEL
  • 삼성: F2

2단계: Boot Menu 찾기

  • 상단 메뉴에서 “Boot” 또는 “부팅” 탭 선택
  • “Boot Priority” 또는 “Boot Order” 항목 확인

3단계: 부팅 순서 변경

  • 네트워크 부팅 비활성화: “Network Boot” 또는 “PXE Boot”를 Disabled로 설정
  • SSD/HDD를 1순위로 설정: Windows Boot Manager 또는 SSD 드라이브명을 최상위로 이동
  • 방향키로 이동, +/- 키 또는 F5/F6으로 순서 변경

4단계: 저장 및 재시작

  • F10 누르고 “Save and Exit” 선택
  • Yes 확인

⚠️ 주의사항: BIOS에서 SSD가 아예 목록에 안 보인다면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결 방법 2: 하드웨어 연결 상태 점검

SSD/HDD 물리적 점검

노트북의 경우:

  1. 전원 끄고 배터리 분리
  2. 뒷면 커버 나사 제거 (십자 드라이버 필요)
  3. M.2 SSD 확인:
    • 슬롯에서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
    •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지 체크
    • 금색 접점에 먼지나 이물질 제거
  4. 2.5인치 SATA SSD 확인:
    • SATA 케이블 연결 재확인
    • 케이블 손상 여부 육안 점검

데스크톱의 경우:

  1. 본체 측면 패널 개방
  2. SATA 케이블 확인:
    • 메인보드와 SSD 양쪽 모두 단단히 연결되었는지 확인
    • 케이블 교체 시도 (여분의 SATA 케이블 사용)
  3. 파워 케이블 확인:
    • SATA 전원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

접촉 점검 후 조치

  • 먼지 제거: 에어 더스터나 부드러운 붓 사용
  • 재장착: SSD를 완전히 빼내고 다시 삽입
  • 다른 슬롯 시도: 메인보드에 여러 M.2 슬롯이 있다면 다른 슬롯 사용

해결 방법 3: SSD 상태 진단

SSD가 물리적으로 고장났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방법 A: 다른 PC에서 확인

  1. 문제의 SSD를 분리
  2. 외장 케이스에 장착 (M.2 to USB 또는 SATA to USB)
  3. 정상 작동하는 다른 PC에 연결
  4. “내 PC”에서 드라이브 인식 여부 확인

인식된다면: 원래 PC의 메인보드/슬롯 문제
인식 안 된다면: SSD 자체 고장

방법 B: 부팅 USB로 확인

  1. 정상 PC에서 윈도우 설치 USB 제작
  2. 문제의 PC에 USB 연결 후 부팅
  3. “지금 설치” 대신 “컴퓨터 복구” 선택
  4. “명령 프롬프트” 실행
  5. 다음 명령어 입력:
diskpart
list disk

SSD가 목록에 보인다면: 부트로더 또는 파티션 문제
목록에 없다면: SSD 하드웨어 고장

SSD 건강 상태 체크 프로그램

정상 부팅되는 상태라면 미리 SSD 상태를 확인하세요:


해결 방법 4: 윈도우 부트로더 복구

SSD는 인식되지만 부팅이 안 되는 경우 시도하세요.

자동 복구 실행

1단계: 복구 환경 진입

  • 윈도우 설치 USB로 부팅
  • 언어 선택 → “컴퓨터 복구”
  •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2단계: 자동 복구 실행

  • “시작 복구” 또는 “Startup Repair” 선택
  • 자동 진단 및 복구 진행 (5-15분 소요)
  • 재시작 후 정상 부팅 확인

수동 복구 (고급)

자동 복구가 실패하면 수동으로 진행합니다.

명령 프롬프트 실행: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bootrec /rebuildbcd

각 명령어 실행 후 “성공” 메시지 확인
⚠️ 주의: 잘못된 명령어 입력 시 데이터 손실 가능


해결 방법 5: 윈도우 재설치 (최후의 수단)

위 방법들로 해결되지 않으면 클린 설치가 필요합니다.

재설치 전 체크리스트

  • ✅ 중요 데이터 백업 완료
  • ✅ 윈도우 정품 인증키 확인
  • ✅ 필요한 드라이버 USB에 준비
  • ✅ SSD가 BIOS에서 인식되는지 재확인

설치 과정

1단계: 부팅 USB 제작

2단계: USB로 부팅

  • BIOS에서 USB를 1순위로 설정
  • 또는 부팅 시 F12, F8, ESC 등으로 Boot Menu 진입

3단계: 윈도우 설치

  • 언어/시간 설정 → “지금 설치”
  • 제품키 입력 (또는 “제품 키가 없음” 선택)
  • “사용자 지정: Windows만 설치” 선택
  • 디스크 파티션 선택 → 기존 파티션 삭제 후 새로 생성
  • 설치 진행 (30-60분 소요)

4단계: 드라이버 설치

  • 네트워크 드라이버부터 설치
  •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자세한 가이드: SSD 설치 방법과 윈도우 OS 마이그레이션 완벽 가이드


SSD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교체 신호

  • ✅ BIOS에서 SSD가 아예 인식 안 됨
  • ✅ 다른 PC에 연결해도 인식 실패
  • ✅ CrystalDiskInfo에서 “주의” 또는 “불량” 표시
  • ✅ 7년 이상 사용 (일반적인 SSD 수명)

SSD 구매 가이드

용량 선택:

  • 기본 사용: 256GB (부족할 수 있음)
  • 권장: 512GB (가성비 최고)
  • 게이밍/작업: 1TB

인터페이스 확인:

  • M.2 NVMe (최신, 가장 빠름)
  • M.2 SATA (구형 노트북)
  • 2.5인치 SATA (데스크톱/구형 노트북)

추천 브랜드:

  • 삼성 (990 PRO, 980 PRO)
  • 크루셜 (P5 Plus)
  • WD (Black SN850X)

관련 정보: SSD vs HDD 차이점과 선택 기준


추가 팁: 데이터 백업 방법

SSD 교체나 재설치 전 반드시 백업하세요!

백업 옵션

  1. 외장 하드 사용 (가장 안전)
    • 500GB~1TB 외장 HDD 연결
    • 중요 폴더(문서, 사진) 복사
  2. 클라우드 백업
    • 구글 드라이브 (15GB 무료)
    • OneDrive (5GB 무료)
    • 네이버 클라우드 (30GB 무료)
  3. 부팅 안 되는 상태에서 백업
    • Linux 부팅 USB 제작 (Ubuntu)
    • USB로 부팅 후 SSD 파일 접근
    • 외장 저장장치로 복사

FAQ: 자주 묻는 질문

Q1. BIOS에서 SSD가 보이는데 윈도우 부팅이 안 돼요

A: 부트로더 문제입니다. “해결 방법 4: 부트로더 복구”를 시도하세요. bootrec 명령어로 대부분 해결됩니다.

Q2. 갑자기 이 오류가 생긴 이유가 뭔가요?

A: 주요 원인은 3가지입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 중 강제 종료
  • SSD 수명 도달로 인한 갑작스러운 고장
  • CMOS 배터리 방전으로 BIOS 설정 초기화

Q3. SSD 수명은 보통 몇 년인가요?

A: 일반적으로 5-10년이지만, 사용 패턴에 따라 다릅니다:

  • 가벼운 사용: 8-10년
  • 중간 사용: 5-7년
  • 집중적 사용 (영상 편집 등): 3-5년

Q4. SSD 교체 비용은 얼마나 되나요?

A: 2025년 기준 가격:

  • 256GB: 3-5만원
  • 512GB: 5-8만원
  • 1TB: 10-15만원
  • 설치비: 노트북 1-2만원, DIY 가능

Q5. 데이터는 복구 가능한가요?

A: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SSD가 인식되면: 90% 이상 복구 가능
  • 물리적 고장: 전문 업체 의뢰 필요 (30-100만원)
  • ⚠️ SSD는 HDD와 달리 복구가 어렵습니다

예방법: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정기적인 백업 습관

  • 3-2-1 백업 규칙 적용
    • 3개의 복사본
    • 2개의 다른 저장 매체
    • 1개는 외부 보관

SSD 건강 상태 모니터링

  • 월 1회 CrystalDiskInfo로 체크
  •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백업

BIOS 배터리 교체

  • 3-5년마다 CMOS 배터리(CR2032) 교체
  • 배터리 방전 시 BIOS 설정이 초기화됨

안전한 종료 습관

  • 업데이트 중 강제 종료 금지
  • 정상적인 시스템 종료 실천

마무리

PXE-E61 오류는 당황스럽지만 대부분 위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 백업입니다.

해결 순서 요약:

  1. BIOS 부팅 설정 확인 (5분)
  2. 하드웨어 연결 점검 (10분)
  3. SSD 상태 진단 (20분)
  4. 부트로더 복구 시도 (30분)
  5. 최후의 수단: 윈도우 재설치 또는 SSD 교체

7년 사용하셨다면 SSD 수명이 다했을 가능성이 높으니, 이참에 교체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더 많은 컴퓨터 부팅 오류 해결 방법도 확인해보세요!


💡 도움이 되셨나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