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양 PC를 구매했는데 모니터가 불규칙하게 깜빡인다면? 정말 답답한 상황입니다. 특히 그래픽카드도 교체하고, 모니터도 새로 샀는데 문제가 지속된다면 더욱 난감하죠.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모니터 깜빡임의 모든 원인과 해결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문제 상황: 이런 증상이 있나요?
- ✅ 새 PC 구매 후 모니터가 불규칙하게 깜빡임 (수십 분~몇 시간 후)
- ✅ 게임, 유튜브 시청 중 화면이 순간 꺼졌다 켜짐
- ✅ 그래픽카드 교체, 모니터 교체해도 증상 지속
- ✅ 듀얼 모니터 사용 시 메인 모니터만 깜빡임
- ✅ HDMI에서 DisplayPort로 변경해도 동일
이런 증상이라면 하드웨어 불량이 아니라 설정이나 호환성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원인 분석: 왜 깜빡이는 걸까?
1. DisplayPort 케이블 품질 문제
144Hz 이상 고주사율 모니터는 대역폭이 높은 신호를 전송해야 합니다. 저품질 케이블은 신호 손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전력 관리 설정
Windows와 NVIDIA 드라이버의 절전 기능이 모니터 신호를 차단하거나 GPU 클럭을 낮춰 깜빡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그래픽 드라이버 충돌
특히 RTX 40 시리즈의 초기 드라이버는 DisplayPort 관련 버그가 많았습니다. DDU로 완전 제거 후 재설치가 필요합니다.
4. DP 포트별 대역폭 차이
그래픽카드의 여러 DP 포트 중 일부만 DP 1.4 지원하거나, 듀얼 모니터 시 대역폭 분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5. G-SYNC/FreeSync 호환 문제
가변 주사율 기술이 특정 주사율 범위에서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단계별 완벽 가이드
방법 1: VESA 인증 DP 케이블로 교체 ⭐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단계:
- VESA 인증 DP 1.4 케이블 구매 (2m 이내 권장)
- 추천 브랜드: Cable Matters, Club3D, Accell
- 기존 케이블 제거 후 새 케이블 연결
- PC 재부팅 후 테스트
⚠️ 주의: 모니터 구매 시 포함된 케이블도 저품질인 경우가 많습니다. 별도 구매를 권장합니다.
방법 2: 그래픽카드의 다른 DP 포트 사용
듀얼 모니터 시 특히 효과적입니다.
단계:
- PC 전원 끄기
- 깜빡이는 모니터 케이블을 다른 DP 포트로 변경
- 예: DP1 → DP3로 이동
- 재부팅 후 최소 1시간 테스트
💡 팁: 일부 그래픽카드는 DP1, DP2만 DP 1.4를 지원합니다. 매뉴얼을 확인하세요.
방법 3: Windows 전원 관리 설정 변경 ⭐⭐
전력 절약 기능이 신호를 끊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단계:
Win + X→ 장치 관리자 열기- 디스플레이 어댑터 확장 → 그래픽카드 우클릭 → 속성
- 전원 관리 탭 →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가 이 장치를 끌 수 있음” 체크 해제
- 확인 클릭
추가 설정:
제어판 → 전원 옵션 → 현재 플랜 옆 "계획 설정 변경"
→ "고급 전원 설정 변경" → PCI Express
→ 링크 상태 전원 관리 → "끄기"로 설정
방법 4: NVIDIA 제어판 전원 설정 변경
GPU 클럭 변동으로 인한 깜빡임을 방지합니다.
단계:
- 바탕화면 우클릭 → NVIDIA 제어판 열기
- 3D 설정 관리 클릭
- 전원 관리 모드 찾기
- **”최대 성능 선호”**로 변경
- 적용 클릭
⚠️ 주의: 전력 소모가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방법 5: DDU로 그래픽 드라이버 완전 제거 후 재설치 ⭐
기존 드라이버 잔여 파일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단계:
-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 다운로드
- 안전 모드로 부팅
Win + R→msconfig입력 → 부팅 탭 → 안전 부팅 체크
- DDU 실행 → “제거 및 재시작” 선택
- 정상 모드로 재부팅
- NVIDIA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Game Ready 드라이버 설치
💡 팁: Studio 드라이버 대신 Game Ready 드라이버를 권장합니다.
방법 6: G-SYNC/FreeSync 비활성화 테스트
가변 주사율 기술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단계:
- NVIDIA 제어판 → G-SYNC 설정
- “G-SYNC 사용, G-SYNC 호환” 체크 해제
- 모니터 OSD 메뉴에서도 FreeSync/Adaptive Sync 끄기
- 적용 후 테스트
방법 7: 모니터 주사율 및 해상도 조정
대역폭 초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단계:
- 바탕화면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클릭
- 새로 고침 빈도 변경 테스트:
- 144Hz → 120Hz
- 4K → 1440p (임시)
⚠️ 주의: 이건 임시 테스트입니다. 해결되면 케이블이나 포트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방법 8: 모니터 펌웨어 업데이트
삼성 오디세이 G7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중요합니다.
단계:
- 삼성 지원 페이지 접속
- 모니터 모델명 검색 (예: Odyssey G7)
- 다운로드 탭 → 최신 펌웨어 확인
- USB로 펌웨어 업데이트 진행
방법 9: DSC(Display Stream Compression) 설정 변경
고해상도 고주사율 사용 시 압축 방식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단계:
- 모니터 OSD 메뉴 진입
- 설정 → DSC 찾기
- “사용”과 “사용 안 함” 모두 테스트
💡 DSC란? 4K 144Hz처럼 높은 대역폭에서 압축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방법 10: PCIe 슬롯 재장착 및 설정 확인
접촉 불량이나 레인 속도 문제를 해결합니다.
단계:
- PC 전원 완전히 끄고 멀티탭도 끄기
- 그래픽카드 제거 → 슬롯 청소 (에어 더스터 사용)
- 다시 단단히 장착
- BIOS 진입 (
Del또는F2키) - PCIe 설정 확인:
- PCIe 속도: Gen 4.0 또는 Auto
- Resizable BAR(ReBAR): Enabled 권장
추가 팁: 원인 특정하는 방법
테스트 1: 단일 모니터 사용
듀얼 모니터를 분리하고 깜빡이는 모니터만 단독으로 며칠 사용해보세요. 해결되면 대역폭 분배 문제입니다.
테스트 2: HDMI로 임시 연결
DP 대신 HDMI 2.1 케이블로 연결 (60Hz로 제한). 깜빡임이 사라지면 DP 관련 문제가 확실합니다.
테스트 3: GPU 스트레스 테스트
FurMark로 GPU 풀로드 테스트. 깜빡이면 전원(PSU) 문제일 수 있습니다.
테스트 4: 이벤트 뷰어 확인
Win + X → 이벤트 뷰어
→ Windows 로그 → 시스템
→ 깜빡임 발생 시각에 "Display" 관련 오류 확인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그래픽카드와 모니터를 다 바꿨는데도 깜빡여요.
A. 케이블, 포트, 드라이버, 전원 설정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위 방법 1, 3, 4, 5를 순서대로 시도하세요.
Q2. 듀얼 모니터 중 한쪽만 깜빡입니다.
A. DP 포트를 바꿔보세요(방법 2). 대역폭 분배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Q3. 파워도 교체했는데 증상이 같아요.
A. 파워 문제가 아니라 전력 관리 설정 문제입니다(방법 3, 4).
Q4. 60Hz로 낮추면 깜빡임이 줄어들까요?
A. 네, 대역폭 문제라면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 해결책은 아닙니다.
Q5. 케이블은 얼마짜리를 사야 하나요?
A. VESA 인증 DP 1.4 케이블은 1~3만원대면 충분합니다. 너무 저렴한 제품은 피하세요.
예방법: 다시는 겪지 않으려면
- 모니터 구매 시 케이블은 별도 구매
- 포함된 케이블은 품질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 그래픽 드라이버는 안정화된 버전 사용
- 최신 버전이 항상 좋은 건 아닙니다
- Game Ready 버전 권장
- 전원 설정은 고성능으로
- 게이밍 PC에 절전 모드는 불필요합니다
- 듀얼 모니터 시 주사율 분산
- 메인: 144Hz, 서브: 60Hz로 설정하면 대역폭 여유 확보
- 케이블 길이는 최대한 짧게
- 2m 이내 권장, 길수록 신호 감쇠 발생
마무리: 이렇게 해결하세요
모니터 깜빡임은 99% 설정이나 케이블 문제입니다. 고가의 하드웨어를 교체하기 전에:
✅ 1순위: VESA 인증 DP 케이블 교체 (방법 1)
✅ 2순위: 전원 관리 설정 끄기 (방법 3, 4)
✅ 3순위: DDU로 드라이버 재설치 (방법 5)
✅ 4순위: DP 포트 변경 (방법 2)
이 4가지만 제대로 시도해도 대부분 해결됩니다.
특히 질문자님처럼 듀얼 모니터 사용 중 메인만 깜빡인다면 **DP 포트 변경(방법 2) + 케이블 교체(방법 1)**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래도 해결 안 되면 GPU의 DP 컨트롤러 불량일 수 있으니 A/S를 받는 게 좋습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나요? 해결 여부를 댓글로 알려주세요!
🔔 더 많은 PC 트러블슈팅 팁은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