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를 재설치하려는데 특정 SSD나 하드디스크가 선택되지 않는 문제, 많은 분들이 겪으시죠? 오늘은 이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제 상황 이해하기
주요 증상:
- Windows 설치 중 “드라이브를 선택할 수 없습니다” 오류
- 일부 디스크는 보이지만 특정 SSD만 선택 불가
- “Windows를 이 디스크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
- 0xc00000e9 오류로 인한 부팅 불가 상황
발생 원인:
- GPT/MBR 파티션 구조 충돌
- 손상된 파티션 테이블
- BIOS/UEFI 설정 문제
- SSD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 문제
- SATA 케이블 접촉 불량
해결 방법 1: DiskPart를 이용한 디스크 초기화 (가장 효과적)
단계별 진행
1단계: 명령 프롬프트 열기
- Windows 설치 화면에서
Shift + F10
키 동시 누르기 -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립니다
2단계: DiskPart 실행
diskpart
3단계: 디스크 목록 확인
list disk
- 각 디스크의 번호와 크기를 확인하세요
- 설치할 SSD의 크기를 참고해 번호를 파악합니다
4단계: 문제의 디스크 선택
select disk X
(X는 해당 디스크 번호)
⚠️ 중요: 반드시 정확한 디스크 번호를 확인하세요! 중요 파일이 있는 SSD를 선택하면 데이터가 모두 삭제됩니다.
5단계: 디스크 완전 초기화
clean
- 모든 파티션과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 이 작업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
6단계: 파티션 스타일 설정
UEFI 시스템의 경우:
convert gpt
레거시 BIOS의 경우:
convert mbr
7단계: DiskPart 종료
exit
8단계: Windows 설치 진행
- 명령 프롬프트를 닫고 Windows 설치를 계속 진행합니다
- 이제 해당 디스크가 선택 가능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 2: BIOS/UEFI 설정 조정
SATA 모드 확인
진행 방법:
- 컴퓨터 재시작 후 Del, F2, F10 등을 눌러 BIOS 진입
- SATA Configuration 또는 Storage Configuration 메뉴 찾기
- SATA Mode를 AHCI로 변경
- 설정 저장 후 재부팅
Secure Boot 비활성화
진행 방법:
- BIOS/UEFI 설정에서 Security 또는 Boot 메뉴
- Secure Boot 옵션을 Disabled로 변경
- 설정 저장 후 재부팅
Legacy/UEFI 부팅 모드 확인
- GPT 디스크는 UEFI 모드 필요
- MBR 디스크는 Legacy 모드 필요
- 설치 USB와 부팅 모드가 일치해야 합니다
해결 방법 3: 하드웨어 점검
SSD 연결 상태 확인
점검 사항:
- SATA 케이블 재연결 (양쪽 끝 모두)
- 다른 SATA 포트에 연결 시도
- 전원 케이블 연결 확인
- 다른 SATA 케이블로 교체 시도
M.2 SSD의 경우
- M.2 슬롯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
-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
- 다른 M.2 슬롯이 있다면 교체 시도
해결 방법 4: 중요 데이터 보호 우선
안전한 작업 순서
데이터 백업이 최우선:
- 중요 파일이 있는 SSD는 물리적으로 분리
- 문제의 SSD만 연결한 상태로 Windows 설치
- 설치 완료 후 백업 SSD 재연결
- 데이터 복구 후 백업 SSD 포맷
외장 케이스 활용:
- 중요 SSD를 외장 케이스에 넣어 다른 PC에 연결
- 데이터를 외장 하드나 클라우드에 백업
- 원본 PC에서 안심하고 작업 진행
해결 방법 5: Windows 설치 USB 재작성
때로는 설치 미디어 문제일 수 있습니다.
Rufus를 이용한 재작성
권장 설정:
- 파티션 구성: GPT (UEFI용) 또는 MBR (Legacy용)
- 대상 시스템: UEFI (CSM 없음) 또는 BIOS
- 파일 시스템: NTFS
- 클러스터 크기: 기본값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 사용
- Microsoft 공식 Media Creation Tool 사용
- 최신 버전 Windows 11/10 이미지 다운로드
- 다른 USB 드라이브로 시도
추가 문제 해결 팁
0xc00000e9 오류가 계속되는 경우
이 오류는 하드웨어 입출력 오류를 의미합니다:
- SSD 불량 가능성 높음
- SATA 케이블 교체 필수
- 다른 PC에 연결하여 SSD 상태 확인
- CrystalDiskInfo로 SSD 건강 상태 점검
새 SSD 구매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
다음 증상이 있다면 SSD 교체 권장:
- Clean 명령 후에도 선택 불가
- 다른 PC에서도 인식 불가
- BIOS에서도 간헐적으로 인식
- SMART 오류 발생
- 3년 이상 사용한 SSD
예방 방법
정기적인 백업
- 중요 파일은 항상 2곳 이상 백업
- 클라우드 스토리지 활용 (Google Drive, OneDrive 등)
- 외장 하드 정기 백업
SSD 건강 모니터링
- CrystalDiskInfo 등으로 주기적 점검
- SMART 정보 확인
- 쓰기 수명(TBW) 모니터링
안전한 전원 관리
- 갑작스런 전원 차단 방지
- UPS 사용 권장
- 안전 제거 절차 준수
자주 묻는 질문 (FAQ)
Q: Clean 명령을 실행하면 정말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나요? A: 네, 복구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백업 후 진행하세요.
Q: GPT와 MBR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요? A: 최신 PC(2013년 이후)는 UEFI+GPT를 권장합니다. 구형 PC는 Legacy+MBR을 사용하세요.
Q: SSD를 새로 구매한다면 어떤 용량이 좋나요? A: 최소 256GB, 권장 512GB 이상입니다. NVMe M.2 타입이 속도가 빠릅니다.
Q: 중요 파일을 백업할 방법이 없는데 어떻게 하나요? A: 해당 SSD를 외장 케이스에 넣어 다른 PC에서 데이터 복구 시도하거나, 전문 복구 업체에 의뢰하세요.
마무리
Windows 설치 시 SSD 선택 문제는 대부분 DiskPart를 통한 디스크 초기화로 해결됩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문제라면 SSD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 중요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 또는 물리적 분리
- DiskPart로 clean 명령 실행
- BIOS 설정 확인 (AHCI, Secure Boot)
- 하드웨어 연결 상태 점검
- 문제 지속 시 SSD 교체 고려
이 방법들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댓글로 상세한 상황을 알려주시면 추가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관련 글:
- Windows 11 클린 설치 완벽 가이드
- SSD 수명 확인하고 건강 관리하는 방법
- 부팅 오류 코드별 해결 방법 총정리